국방제조기술로 자리잡은 3D프린팅 기술의 모습 돋보여
2025년 6월 18-20일 대전 DCC에서 드론, 3D프린팅 등 방위산업 관련 제품·장비 그리고 기술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대규모 전시회인”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 2025″이 열렸습니다. 본 산업전은 대한민국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육군, 해군, 공군,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후원하며, 각 군 국산화 개발 상품과 방산기업 제품 전시를 통해 국내 방산기술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수요자와 개발기업 간 네트워크 형성을 목적을 가집니다.
올해는 178개 기업이 참여하고 395개 부스가 운영되었으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역시 올해로 제4회를 맞이한 국방3D프린팅 경진대회 홍보관과 연계하여 전시에 참가하였습니다. 2014년 창립 이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성장한 3D프린팅 기업들과 함께 그간 도출한 국방분야 3D프린팅 제조 성과를 전시하고 기술활용을 위한 기업지원,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홍보하였습니다.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 20250619 094354 e1750730696780](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20250619_094354-e1750730696780.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2 KakaoTalk 20250623 153251948 14](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KakaoTalk_20250623_153251948_14.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3 KakaoTalk 20250624 102958725 30 e1750731107646](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KakaoTalk_20250624_102958725_30-e1750731107646.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4 20250619 104426](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20250619_104426.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5 20250620 111205 e1750732175982](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20250620_111205-e1750732175982.jpg)
국방산업발전대전 첫날인 6월 18일 개막행사에서 국방3D프린팅경진대회 부스는 큰 화제가 되어, 군 관계자들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3D프린팅 기술의 장점인 분산제조, 유연생산 같은 신속하고 융통성 있는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특징 덕분에 현대전에 유리한 기술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6 698601 317832 3324](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698601_317832_3324.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7 KakaoTalk 20250623 154250225 e1750731427155](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KakaoTalk_20250623_154250225-e1750731427155.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8 본문중간 1](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본문중간-1.gif)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9 20250619 145134](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20250619_145134.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0 20250619 145340](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20250619_145340.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1 20250619 145826](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20250619_145826.jpg)
3D프린팅 섹션 참가 기업으로는 AM솔루션즈, Veltz, 글룩, 링크솔루션, 캐리마, MAADE 등의 국내 업체들이 참가하여 3D프린팅 제조분야에 국내 생태계가 잘 성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링크솔루션, AM솔루션즈는 자사 3D프린팅 장비를 육군과 해군, 해병대에 납품함으로써 방산시스템으로서의 3D프린팅 기술을 입증하고 상용화하여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드론 어플리케이션 우세, 제 4회 국방3D프린팅 경진대회
이 외에도 국방산업발전대전에서는 제 4회 국방 3D프린팅 경진대회 시상식이 이루어졌습니다. ‘폭탄투하 드론 설계 및 제작능력 확보’로 육군 군수사령부 소속 김진원 소령 등 3명이 우수사례 부문 국방부장관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외에도 육군참모총장상을 수상한 ‘3D프린팅을 활용한 FPV/드론 60mm 박격포탄 장착/투하 전투실험’, 육군군수사령관상을 수상한 ‘드론 기체 수리용 맞춤형 몰드’, 해군군수사령관상을 수상한 ‘표적드론 개발’ 등 러-우 전쟁을 통해 중요성이 대두된 드론 어플리케이션의 수상이 눈에 띄었습니다. 이는 3D프린팅 기술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대전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점이 확인되는 대목이었습니다.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2 7351720 high](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7351720_high.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3 high](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high.jp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4 high 1](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high-1.jpg)
대전시 유득원 행정부시장, 국방부 이갑수 군수관리관, 임경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문장, 고형석 한국산업단지공단 본부장, 박재영 한국3D융합산업협회장,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등 산·학·연·군 주요 인사들이 국방 3D프린팅 부스를 참관하며 정책결정자들에게도 3D프린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오늘 시상된 작품들은 국방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향후 군수지원체계에 효과적인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대전시는 앞으로도 산·학·연·군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수요 중심의 3D프린팅 산업 생태계 조성에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언급하며, 3D프린팅에 대한 지원 의지를 밝혔습니다.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5 본문중간2](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본문중간2.gif)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6 본문상단](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본문상단.gif)
시상식에 이어 진행된 국방 3D 프린팅 기술세미나에서는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이협 수석을 포함한 국내 3D프린팅 전문가들이 그 간의 성과와 인사이트를 공유했습니다.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7 캡처 1](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캡처-1.png)
![[전시회]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국방산업발전대전 (InLEX 2025) 참가 18 KakaoTalk 20250624 103004156 18](https://kamic.or.kr/wp-content/uploads/2025/06/KakaoTalk_20250624_103004156_18.jpg)
한 해 한 해 높아지는 국방3D프린팅의 수준과 관심, 산업의 성장을 볼 수 있는 국방산업발전대전입니다. 2026년 국방3D프린팅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지 함께 지켜봐주세요! ✨
[관련기사]
아주경제 – 3D프린팅 기술로 폭탄 투하 드론도 만든다
신소재경제 – 3D프린팅 활용 폭탄투하 드론 국방부 장관상 수상 – 수입比 가격 절반↓, 최적 설계 신속 제작 가능
국방일보 – ‘폭탄 투하 드론 설계·제작’ 활용 우수사례 장관상
뉴스1 – 폭탄 드론도 3D 프린팅으로
제4회 국방 3D프린팅 경진대회 시상식
충청일보 – 국방을 바꾸는 프린팅의 힘…대전시, 국방 3D산업 메카 입지 굳혀
뉴시스 – 3D프린팅 기술로 폭탄투하 드론 설계…국방 경진대회서 장관상 수상
파이낸셜뉴스 – 대전시, 4회 국방 3D프린팅 경진대회 21개 수상팀 선정
대전투데이 – ‘군과 시민이 함께 만든 3D프린팅 혁신’…대전서 제4회 국방 경진대회 빛났다
비알뉴스 – 군과 시민이 함께 만든 3D프린팅 혁신…대전서 꽃피우다
신아일보 – 국방도 3D프린팅 시대…폭탄투하 드론·장비검사도구 우수사례 선정